지지와 저항 역할을 하는 전저점과 전고점을 탐지하고 저가와 고가 사이의 범위를 표시해주는 보조 지표 사용 방법보조지표 설명: Highest/Lowest Range in Timeframe
`Highest/Lowest Range in Timeframe` 지표는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 구간 내에서의 최고가(High) 및 최저가(Low)를 탐지하고, 이를 차트 상에 직관적으로 표시해 주는 기술적 분석 도구입니다.
시장 흐름 속에서 특정 구간의 핵심 가격 범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, 가격 변동성 판단, 레인지 트레이딩 전략 수립, 지지·저항 구간 확인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.
## 지표의 핵심 기능
본 지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:
* 사용자가 입력한 봉 수만큼의 기간을 기준으로 최고가 및 최저가를 자동 계산합니다.
* 해당 가격에 수평 점선(Line)을 그려 시각적으로 강조합니다.
* 최고가 및 최저가의 가격 수치를 텍스트 라벨(Label)로 표시합니다.
* 고가와 저가 간의 가격 차이(변동률)를 퍼센트(%)로 산출하여 함께 표기합니다.
* 매 바(bar)마다 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하며, 이전 시각 요소는 자동으로 제거됩니다.
## 작동 원리
이 보조지표는 사용자가 설정한 분석 구간(`visibleBars`, 기본값: 500봉)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작동합니다:
1. 최근 N개의 캔들 중 최고가(highest value)와 최저가(lowest value)를 탐색합니다.
2. 해당 가격이 발생한 시간(time)을 기준으로 수평선을 생성합니다.
3. 고가와 저가 각각에 가격 정보를 담은 라벨을 표시합니다.
4. 고저 간 변동폭을 백분율로 계산하여 범위(%) 라벨로 함께 표기합니다.
5. 매 캔들(bar)마다 이 과정을 반복하며 실시간으로 갱신됩니다.
## 시각적 구성 요소
| 구성 요소 | 설명 | 표시 방식 |
| 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 |
| 고가 라인 | 최고가 지점에 생성되는 수평 점선 | 녹색 점선 |
| 저가 라인 | 최저가 지점에 생성되는 수평 점선 | 녹색 점선 |
| 고가 라벨 | `High: ` 형태로 최고가를 표시 | 좌측 정렬, 흰색 텍스트 |
| 저가 라벨 | `Low: ` 형태로 최저가를 표시 | 좌측 정렬, 흰색 텍스트 |
| 변동률 라벨 | `Range: +x%` 형태로 고저 차이를 퍼센트로 표기 | 최고가 아래에 배치 |
## 사용자 설정 항목
* Bars to Scan (분석 구간 봉 수)
최근 몇 개의 캔들을 기준으로 고저를 계산할지 설정하는 항목입니다. 기본값은 500이며, 최소 100에서 최대 1000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.
> ※ 긴 구간을 설정할수록 더 장기적인 고저를 확인할 수 있으며, 짧은 구간을 선택하면 최근 움직임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.
## 활용 예시
* 레인지 트레이딩 전략 수립 시: 박스권 상단과 하단을 명확히 구분
* 지지·저항 영역 판단 시: 고점 및 저점에서의 반응 여부 확인
* 시장 변동성 분석 시: 고저 간 퍼센트 차이를 통해 리스크 범위 파악
* 매수·매도 타이밍 판단 시: 가격이 어느 위치에 근접해 있는지 시각적으로 인지
## 결론
`Highest/Lowest Range in Timeframe` 지표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핵심 정보를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.
특정 기간 내에서의 고점과 저점을 빠르게 파악하고, 그 범위의 상대적인 크기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가격의 위치와 변동성을 기준으로 매매 전략을 세우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본 지표는 실용적인 기준점을 제공할 수 있는 보조 지표입니다.
피봇 포인트
이더리움 현물 매수 관점이더리움 1일봉 차트입니다.
차트 중앙 흰선은 2021년 2월 부터 이어져온 장기 S/R Flip 입니다.
(S/R Flip = 지지/저항이 바뀌는 구간)
무려 10회를 사용한 신뢰도가 높은 선이며, 그만큼 중요한데 오늘 급락에 지지를 받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.
다만 중요한 만큼 이곳이 무너진다면 차트에 표시해둔 1,520~1,700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반드시 지켜줘야 합니다...
다행히 지켜주고 반등에 성공 한다면 2,620~2,940까지는 상승해 줄것으로 보고, 의미있는 저항이 나올 것으로 보고있습니다.
때문에 해당 구간에서 어느정도 물량 정리가 필요해 보이며, 뚫어준다면 물량을 재차 늘려도 될 것으로 봅니다.
2024.09.14 BTC SHORT49K를 깰 것이냐, 65K 뚫고 상승해 나아갈 것이냐를 두고 많은 고민을 하였습니다...
하지만 선물은 예측이 아닌 대응을 하는 것이고, 조금 더 지켜본 다음 보다 확실해졌을 때 관점을 세워도 되지만 이번 관점의 자리가 맞다면 2만불 가량의 구간을 먹을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 해당 관점을 세우게 되었습니다.
물론 이러한 이유로만 세운 관점은 아닙니다.
제 기준에 주봉급에서의 물량을 먹고 올린 현재의 상승 형태가 아직도 74K를 향해 가기에는 물량 소화가 부족하여 49K 아래의 물량까지 먹으러 가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어서이기도 합니다.